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욕실 플라스틱 제로 챌린지: 7일 안에 쓰레기 90 % 줄이는 6단계

by blog47768 2025. 7. 16.
반응형

 

욕실 플라스틱 제로 챌린지
단단한 고체 샴푸와 대나무 칫솔만으로도 욕실이 가벼워집니다.

하루에도 수차례 사용하는 욕실은 플라스틱 병이 가장 빨리 늘어나는 공간입니다. 이번 글은 일주일 동안 단계적으로 실행하는 욕실 플라스틱 제로 챌린지 6단계를 소개합니다. 제로웨이스트 욕실을 만들고 싶지만 어디서 시작할지 막막했던 분이라면, 아래 순서대로 따라오세요!

1. D-7: 욕실 ‘플라스틱 인벤토리’ 작성

첫날엔 샴푸·린스·바디워시·면도기·칫솔 등 플라스틱 용기를 모두 꺼내 종류·용량·소진 예상일을 리스트업합니다. 남은 양이 30 % 이하인 제품부터 대체 제품을 찾으면 낭비 없이 전환할 수 있습니다.

2. D-6: 고체 샴푸‧바디솝으로 1차 스왑

물기를 최소화해 만든 고체 샴푸비건 바디솝은 플라스틱 용기 없이도 거품과 보습력을 모두 충족합니다. 전용 비누 망에 넣어 사용하면 거품량이 30 % 이상 늘어 경제적입니다.

3. D-5: 대나무 칫솔 + 정제 치약(타블렛)

칫솔 손잡이를 FSC 인증 대나무로, 치약은 치약 타블렛으로 교체해 보세요. 플라스틱 대비 탄소배출이 50 % 이상 줄고, 여행 시 액체 규제에도 걸리지 않습니다.

4. D-4: 면도기‧위생용품 ‘다회용’ 업그레이드

일회용 면도기는 스테인리스 세이프티 레이저로, 위생용품은 생리컵·재사용 패드로 전환합니다. 초기 비용은 있지만 1년 기준 70,000원 이상 절약 효과가 있다는 소비자원 조사도 있습니다.

5. D-3: 리필형 바디워시‧클렌저 도입

아직 액체 제품이 필요하다면 리필 파우치를 지원하는 브랜드를 선택하세요. 파우치 소재는 80 % 이상이 단일 PP라 재활용 효율이 높습니다. 투명 리필 보틀에 날짜 스티커를 붙여 사용량도 관리해 보세요.

6. D-2~D-Day: 7일 루틴 점검 & 수치화

마지막 이틀은 스preadsheet에 ▲구매 비용 ▲발생 쓰레기 무게 ▲CO₂ 저감량을 기록하며 Before → After를 수치화합니다. 평균적으로 욕실 플라스틱 쓰레기는 월 2 kg→0.2 kg, 비용은 15 % 절약된다는 결과가 나옵니다.

빠른 체크리스트

  • 플라스틱 인벤토리 작성(소진율 확인)
  • 고체 샴푸 & 비건 바디솝 스왑
  • 대나무 칫솔 + 치약 타블렛
  • 세이프티 레이저·생리컵 등 다회용 업그레이드
  • 리필 파우치 & 투명 보틀 사용
  • 7일 간 쓰레기·비용·CO₂ 변화 기록

이 6단계 욕실 플라스틱 제로 챌린지만 실천해도 환경 부담은 크게 줄이고, 경제적 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습니다. 오늘부터 ‘플라스틱 Free’ 욕실 라이프를 시작해 보세요!

반응형